회고/Weekly

BEYOND SW 캠프 15기 7주차 회고

grove1212 2025. 3. 10. 09:40

1. FACTS : 일주일동안 있었던 일, 내가 한 일

1-1. 이번 일주일동안 있었던 일

1-1-1.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

  • 디자인패턴
    종류도 너무 많고 헷갈려서 아직 숙지가 되진 않았다.
  • 자료구조
    stack, queue, deque, tree, heap 등을 배웠다.
  • 자바 종합 실습
    우테코 프리코스 최종 코테 문제를 가져와서 다시 구성해봤다. 그때 최종 탈락하고 허접한 코드들에 너무 아쉬웠는데 이번에는 힘겹지만 그래도 요구사항을 완성할 수 있는 수준까지 성장한 것 같아 좋았다. 이후 강사님께 코드 피드백을 받았는데, 첫번째는 객체 생성 시 검사가 필요할 때 객체 생성 패턴을 활용하라는 피드백과, AttendanceProgram이라는 컨트롤러 클래스를 만들어서 진행했는데 컨트롤러의 정확한 역할은 io의 정보들을 적당히 쪼개서 서비스와 연결하는 역할이기 때문에 controller에서 작성한 많은 기능들이 service에 들어가야 했다. 입력을 받고 입력을 검사하는 기능이 한 함수 안에 들어가있는데, 입력을 검사할 때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해야하기 때문에 기능단위가 나누어져야(함수분리) 한다는 조언을 들었다. 나에게 필요한 조언이었고 나중에 클린 코드에 대해 더 배운 후 리팩토링을 진행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1-1-2. 코딩테스트 / PCCE

  • 코딩테스트 스터디에선 3/14일까지 프로그래머스 Lv1문제 전부 풀기를 목표로 꾸준히 하고 있다. 저번주에는 컨디션 난조로 6문제밖에 못풀었다.
  • PCCE 만점을 달성했다.

1-1-3. 비즈니스 기획 특강

  • 아주 멋진 분이셨다. 책을 꾸준히 읽으셔서 그런지 말씀도 논리적으로 하셨다. 5시간 내내 집중하는 것은 힘들었지만 그 와중에 얻은 인사이트가 몇 개 있다.
  • 성장통은 필수
    굉장히 버거운데 지나고 나니까 익숙해지는 것이 바로 성장통이다. 강사님께서는 5시에 일어나 7시에 도착해서 출근시간이 되기 전까지 책 등을 읽으신다고 한다. 성장통이 없고 몸이 편하면 성장도 멈춘다고. 맞는 말이다.  여기서 드는 궁금증은 너무 높은 목표를 잡게되면 성취하기는 커녕 가까이 가기조차 어렵지 않나? 였다. 강사님은 그 목표까지 달리는 과정에서 성장을 하는거라고 하셨다. 대기업 취업이라는 너무너무 높은 목표를 갖고있는 나에게 뭔가 위로가 되는 말이었다. 목표는 정량적으로 잡되 너무 크게 잡진 말고,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하다보면 분명 성장할 수 있을거라는  말을 들을 수 있어 좋았다.
  • 기획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잘 할 수 있는가
    기획서 내가 가지고 있는 확신을 남한테 설득시키는 틀이다. 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해관계자를 이해시키고 동의를 받는 것이다. 남을 이해시키려면 나부터가 충분히 공부하고 확신을 가져야 한다. ppt 한 장에 적힌 제목이 그 밑의 내용을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 설득을 잘 하려면 내 입장에서의 설명이 아니라 여러 관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설명을 해야한다. 기획을 할 떄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의 어떤 painpoint를 해소해줄 것인지와 이 기획이 고객에게 돈을 낼 만큼 가치있는 서비스인가 이다. 결론은 기획은 스토리텔링이다. 근데 나는 이게 취업준비와도 연관이 있다고 느꼈다. 결국 내가 당신네 회사에 들어가서 이만큼의 이득을 가져다줄 수 있어요!!를 면접자들에게 설득시키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나부터가 너네 회사에 들어가면 완전 잘할것이라는 확신을 가져야한다.
  • 책은 마음의 양식
    책을 사서 모으는걸 좋아하시는데 yes24 분야별 베스트셀러를 참고한다고 하셨다. yes24 베스트셀러는 그쪽 분야에서 관심도가 가장 높은, 웹서핑에서는 안나오는 정보들이 담겨있다고 하셨는데 맞는 말 같았다. 그래서 yes24 베스트셀러를 분야별로 쭉 봐봤는데, 내가 이미 가지고있는 세이노의 가르침과 같은 책들도 있었다. 새로운 책들에 욕심내기 보단 이미 가지고 있는 책을 야무지게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사실 25년도 목표가 책 12권 읽기인데 한권도 아직 못읽었다. 이번에 자극을 받아 다시 책읽기 시작해야겠다.

1-2. 일주일동안의 기록

1-2-1. 블로그 기록

  • 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 소수 찾기
[프로그래머스] 실패율
[프로그래머스] 옹알이(2)
[프로그래머스] 다트 게임
[프로그래머스]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 Java
[Java] replace와 replaceAll의 차이
[Java] 자바 Math.pow() 함수

1-2-2. 기록스터디 기록

  • 기록 스터디에서 꾸준히 기록 인증을 하고있다. 이번주에는 달성률이 저조하다. 주말에라도 해야하는데 이번 주말에 약속 세개를 몰아잡아서 애매했다. 다음부터는 약속을 덜 잡아야겠다. 이번 주의 시작을 수요일부터 한 느낌인데, 해야할 건 잔뜩인데 시간은 한정되어있다보니 오히려 무기력함을 느꼈다 ㅠ


2. Keep

  • 매일 운동 하기
    힘들고 기운이 없어서 못한 날도 있지만 다음날에라도 하려고 노력했다.
  • 매일 복습
  • 주중에 게임 안하기
    물론 매우 하고싶은 날도 있었지만 잘 참았다!

3. Problem

  • 하루에 한화 복습 or 코딩테스트 or fienmee or 정보처리기사 이렇게 넷 중에 하나씩만 하는 경향이 강하다.

4. Try

  • 매일 주요 목표 하나씩만 정해야겠다.

5. 저번 주 목표

  • 🔜프로그래머스 Lv1문제 15문제 풀기(하루 2~3문제) 
    • 프로젝트 내용 : 코딩테스트 대비 87문제 풀기(~3/14)
    • 결과 : 66 / 87 (이번 주 6문제 풀이 완료)
  • 🔜 매일 아침, 점심, 저녁에 하나씩 기록 남기기(주말 포함) 
    • 프로젝트 내용 : 기록에 익숙해지기
    • 결과 : 매일 1~5개의 기록 남기기 완료
  • 🔜  5개의 정보처리기사 기출 풀기
    • 프로젝트 내용 : 정보 처리 기사 기출 전부 풀기(총 3/20개)
    • 결과 : 3 / 20
  • ❌ fienmee 주어진 이슈 해결하기(하루 날 잡고 해결)
  • 월 ~ 금 배운 것 복습하기 + 리눅스 복습하기
    • 프로젝트 내용 : 부트캠프 복습

6. 이번 주 목표

  • 프로그래머스 Lv1문제 21문제 풀기 
    • 프로젝트 내용 : 코딩테스트 대비 87문제 풀기(~3/14)
    • 현재 : 66 / 87
  • 12시 전에 자기 
  • 매일 배운 것 1순위로 복습하기
    • 프로젝트 내용 : 부트캠프 복습

 

이번주 힘든 일정 소화하느라 고생 많았구 이번주에는 할일 진짜 쪼금만 잡아서 다 해버리기!